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수학

조건문 : 공허한 참 &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728x90

조건문에서 전건이 거짓인 경우 그 조건문은 참이 된다.

다시 말해 pq에서 p가 거짓인 경우, q가 참이든 거짓이든 pq은 참이 된다는 것이다.

 

가령 "내일 날이 맑으면 소풍을 가자"라고 말했다고 해보자.

다음 날이 되어서 날이 맑았을 때 소풍을 갔다면 진실을 이야기 한 것이고 가지 않았다면 거짓말을 한 것이다.

그런데 다음 날이 되어서 비가 온다면?

소풍을 갈 수도 있고 안 갈 수도 있겠지만 어떤 행동을 취하던 거짓말을 한 것은 아니다.

 

"대회에서 우승하면 상금을 드립니다."

우승을 못했어도 상금을 받을 수도 있지 않은가?

물론 못 받는 것이 더 당연해보인다.

 

하지만 pqp로부터 q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지 않나?

p가 거짓이면 이 명제를 통해 알 수 있는 새로운 정보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를 공허한 참(Vacuous Truth)이라고 부른다.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라 한자어로 된 짧은 번역어가 있을 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없는 것 같다.)

 

앞서 본 예시들처럼 p가 거짓일 때 pq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해보이나 그걸 참이라고 해야하냐는 애매해 보인다.

참이냐 거짓이냐 둘 중 하나를 골라야한다면 참이겠지만 말이다.

이 때문에 일부 수학자들은 공허한 참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한다.

 

 

여담으로 pq에서 어떤 것이 어떤 것을 위한 충분조건이고 필요조건인지 많이 헷갈린다. (적어도 나한테는 그랬다.)

사실 용어가 이름 붙은 이유를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p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란 것은 q가 진실임을 알기 위해서는 p가 진실임을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q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란 것은 p가 진실이려면 q가 진실이여야한다는 것이다.

 

앞에서 나온 문장인 "날이 맑으면 소풍을 가자."를 예로 생각해보자.

날이 맑은 걸 알았다면 소풍을 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물론 비가 왔어도 소풍을 갔을 수는 있겠지만 날이 맑은 것을 안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날이 맑은 것"은 "소풍을 간 것"을 위한 충분조건이다.

 

반대로 날이 맑았는지가 궁금하다면 소풍을 갔다는 것은 꼭 필요한 정보이다.

소풍을 안 갔다면 날이 맑지 않았을테니까.

"소풍을 간 것"은 "날이 맑은 것"의 필요조건이 된다.

728x90